재난·안전 현황

재난·안전 현황 : 재난·안전 R&D조사
대국민 재난안전 R&D 인식조사
  • 일반국민 1,000명
  • 기간 : 2022.9.5. ~ 9.30.
  • 방법 : 온라인 설문

※ 출처 : 국립재난안전연구원(2022), 제4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 수립 연구

  • Q1.재난안전 문제에 대한 ‘관심도’ 및 ‘심각성’에 대에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우리나라 재난안전 분야 R&D에 대한 관심도는 매우 관심있다가 19.7%, 어느정도 관심이 있다가 57.0%, 보통이다가 21.1%, 별로 관심이 없다가 2.0%, 전혀 관심이 없다가 0.2%로 나타났고  심각성은 매우 심각하다가 17.1%, 어느정도 심각하다 65.5%, 보통이다가 15.5%, 별로 심각하지않다가 1.8%, 전혀 심각하지않다가 0.1%로 나타났다.
  • Q2.가장 위험한 ‘자연재난’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자연재해 중 우리 생활에 가장 위험한 재해를 전체순위 기준으로 살펴보면 1위가 82.9%로 태풍, 2위가 50.0%로 가뭄 ,3위가 49.8%로 폭염,4위가 43.6%로 호우,5위가 43.5%로 홍수,6위가 40.2%로 지진, 7위가 36.4%로 황사로 나타났고, 1순위 기준으로는 1위가 56.1%로 태풍, 2위가 11.8%로 호우, 3위가 9.8%로 홍수, 4위가 7.0%로 지진, 5위가 3.4%로 가뭄, 6위가 3.2%로 황사,7위가 2.6%로 폭염으로 나타났다.

    ※ 복수 응답 중 ‘1순위 응답만 추출’한 경우와 ‘전체 순위 응답을 포함’한 경우로 구분하여 분석

  • Q3.가장 위험한 ‘사회재난’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사회재난 중 우리 생활에 가장 위험한 재난을 전체순위 기준으로 살펴보면 1위가 79.6%로 감염병, 2위가 54.7%로 산불, 3위가 50.4%로 화재, 4위가 41.7%로 도로교통 재난사고, 5위가 39.7%로 수질오염 , 6위가 32.4%로 방사능사고, 7위가 28.4%로 사이버테러로 나타났고, 1순위 기준으로는 1위가 57.4로 감염병, 2위가 10.8%로 도로교통 재난사고, 3위가 8.1%로 산불, 4위가 7.9%로 화재, 5위가 4.6%로 방사능 사고, 6위가 1.4%로 수질오염으로 나타났다.

    ※ 복수 응답 중 ‘1순위 응답만 추출’한 경우와 ‘전체 순위 응답을 포함’한 경우로 구분하여 분석

  • Q4.생활에서 가장 위험한 ‘안전사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안전사고 중 우리 생활에 가장 위험한 사고를 전체순위 기준으로 살펴보면 1위가 65.1%로 범죄, 2위가 41.7%로 전기·가스 사고, 3위가 39.0%로 사업장 산재 , 4위가 31.9%로 자살, 5위가 25.8%로 안전취약계층 사고, 6위가 24.5%로 물놀이사고, 7위가 17.5%로 의약품 사고로 나타났고, 1순위 기준으로는 1위가 28.7%로 범죄, 2위가 23.3%로 전기·가스 사고, 3위가 12.7%로 사업장 산재, 4위가 10.2%로 물놀이 사고, 5위가 6.1%로 자살, 6위가 4.5%로 승강기 사고로 나타났다.

    ※ 복수 응답 중 ‘1순위 응답만 추출’한 경우와 ‘전체 순위 응답을 포함’한 경우로 구분하여 분석

  • Q5.‘전체재난’ 중 가장 위험한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전체 재난 중 우리 생활에 가장 위험한 재난을 전체순위 기준으로 살펴보면 1위가 61.5%로 감염병, 2위가 52.5%로 태풍, 3위가 40.7%로 범죄 , 4위가 26.0%로 화재, 5위가 20.0%로 산불 , 6위가 19.3%로 호우, 7위가 19.1로 지진으로  나타났고, 1순위 기준으로는 1위가 23.6%로 감염병, 2위가 23.5%로 태풍, 3위가 12.1%로 범죄, 4위가 4.3%로 호우, 5위가 4.1%로 홍수, 6위가 3.7%로 지진, 7위가 2.8%로 방사능 사고로 나타났다.

    ※ 복수 응답 중 ‘1순위 응답만 추출’한 경우와 ‘전체 순위 응답을 포함’한 경우로 구분하여 분석

  • Q6.우리나라 기술수준으로 어느 정도 재난안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보십니까?

    현재 우리나라 수준에서 재난안전 문제에 대한 해결 가능성에 대한 의견으로 보통이 41.9%, 많이 해결이 37.8%, 약간 해결될 수 있음이 16.7%, 전혀 해결되지 않음이 2.4%, 완벽하게 해결이 1.2%로 나타났다.
  • Q7.정부의 재난안전 문제 대응 중 어떤 것을 가장 긍정적으로 평가하십니까?

    정부가 재난안전 문제 대응에 있어 가장 잘하고 있는 사항으로는 ‘대국민 실시간 재난/안전 정보제공(문자알림서비스 등)’이 63.8%로 가장 높게 나타남, 다음으로 ‘재난안전 총괄관리(법/제도, 예산, 조직, 안전기준/규제)’ 9.4%,'재난안전 교육프로그램 및 홍보' 6.6%, '재난안전 분야 과학기술(R&D)및 제품개발' 5.5%, '재난안전시설물 구축 및 유지·관리' 5.5%', ‘기타’ 5.5%, '재난안전 전문인력 양성' 3.7%의 순으로 나타남
  • Q8.재난안전 문제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정부에서 무엇을 추진해야 한다고 보십니까?

    재난안전 문제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정부가 추가적으로 추진해야할 사항으로는 ‘재난안전 총괄관리(법/제도, 예산, 조직, 안전기준/규제)’가 33.7%로 가장 높게 나타남, 다음으로  ‘재난안전 시설물 구축 및 유지·관리’ 28.7%, ‘재난안전 전문인력 양성’ 18.4%, ‘재난안전 분야 과학기술(R&D) 및 제품·개발‘ 8.7% , '재난안전 분야 교육프로그램 홍보' 7.7% , '대국민 실시간 재난안전 정보제공' 2.2%, '기타' 0.4%의 순으로 나타남
  • Q9.재난안전 분야 과학기술(R&D)에 대한 ‘인지도’와 ‘중요도’는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재난안전 분야 과학기술(R&D)에 대한 인지도는 잘 모른다가 43.5%, 보통이다가 38.5%, 전혀 모른다가  7.6%, 알고 있는 편이다가 10.0%, 매우 잘 알고 있다가  0.4%로 나타났고, 재난안전 분야 과학기술(R&D)에 대한 중요도는 매우 중요하다가 23.3%, 중요하다가 60.1% , 보통이다가 15.6%, 중요하지 않다가 1.0%, 별로 중요하지 않다가  0.8%  로나타남
  • Q10-1.재난안전 분야 과학기술(R&D)의 ‘중요도’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재난안전 분야 과학기술(R&D)에 대한 중요도는 매우 중요하다가 23.3%, 중요하다가 60.1% , 보통이다가 15.6%, 중요하지 않다가 1.0%, 별로 중요하지 않다가  0.8%  로나타남
  • Q10-2.재난안전 분야 과학기술(R&D)이 문제해결에 얼마나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재난안전 분야 과학기술(R&D)의 기여도는 매우 높음 이 19.4%, 조금 높음이 53.2%, 보통이 24.2%, 매우 낮음이 0.5%, 조금 낮음이 2.7%로 나타남
  • Q11.과학기술(R&D)이 문제해결에 가장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자연재난’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자연재해 중 과학기술이 기여할 수 있는 재해로는 전체순위 기준 ‘홍수’가 43.5%, ‘태풍’ 42.7%, ‘산사태,급경사지 붕괴’ 36.4%, ‘가뭄’ 33.9%, ‘지진’ 31.8%, ‘조류대발생’ 30.4%, ‘황사’ 29.9% 의 순으로 나타남, 1순위 기준으로는 ‘태풍’ 25.1%, ‘호우’ 9.6%, ‘지진’ 7.0%, ‘산사태·급경사지 붕괴’ 6.1%, ‘가뭄’ 5.5%, ‘홍수’ 5.3%의 순으로 나타남

    ※ 복수 응답 중 ‘1순위 응답만 추출’한 경우와 ‘전체 순위 응답을 포함’한 경우로 구분하여 분석

  • Q12.과학기술(R&D)이 문제해결에 가장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사회재난’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사회재난 중 과학기술이 기여할 수 있는 재난으로는 전체순위 기준 ‘감염병’이 69.6%, ‘도로교통 재난사고’ 37.1%, ‘방사능 사고’ 34.9%, ‘사이버테러’ 31.3%, ‘수질오염’ 30.88%, ‘화재’ 26.5%, ‘가축 및 수산 생물 전염병’ 26.1%의 순으로 나타남,1순위 기준으로 ‘감염병’ 57.3%, ‘도로교통 재난,사고’ 10.7%, ‘가축 및 수산생물 전염병’ 3.1%, ‘사이버테러’ 3.0%, ‘방사능사고’ 3.0%, ‘화재’ 2.9%, ‘산불’ 2.4%의 순으로 나타남

    ※ 복수 응답 중 ‘1순위 응답만 추출’한 경우와 ‘전체 순위 응답을 포함’한 경우로 구분하여 분석

  • Q13.과학기술(R&D)이 문제해결에 가장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안전사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안전사고 중 과학기술이 기여할 수 있는 사고로는 전체순위 기준 ‘전기가스 사고’가 55.4%, ‘승강기 사고’ 41.0%, ‘사업장 산재’ 34.6%, ‘의료기기 사고’ 30.8%, ‘생활제품 사고’ 26.7%, ‘범죄’ 26.1%, ‘의약품 사고’ 20.4%의 순으로 나타남, 1순위 기준으로 ‘전기,가스사고’ 24.6%, ‘승강기 사고’ 23.9%, ‘사업장 산재’ 11.2%, ‘범죄’ 8.6%, ‘의료기기 사고’ 7.4%, ‘생활제품 사고’ 5.4% 의 순으로 나타남

    ※ 복수 응답 중 ‘1순위 응답만 추출’한 경우와 ‘전체 순위 응답을 포함’한 경우로 구분하여 분석

  • Q14.‘전체재난’ 중 과학기술(R&D)이 문제해결에 가장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전체 재난 중 과학기술이 기여할 수 있는 재난으로는 전체순위 기준 ‘감염병’이 52.1%, ‘사이버테러’ 21.5%, ‘전기,가스사고’ 21.4%, ‘태풍’ 20.7%, ‘방사능사고’ 19.9%, ‘도로교통 재난,사고’ 17.9%, ‘금융전산 사고’ 17.0%의 순으로 나타남, 1순위 기준으로 ‘감염병’ 20.4%, ‘태풍’ 12.8%, ‘홍수’ 6.4%, ‘사이버테러’ 4.6%, ‘도로교통 재난,사고’ 3.9%,‘금융전산 사고’ 3.5%,‘방사능 사고’ 3.3% 의 순으로 나타남

    ※ 복수 응답 중 ‘1순위 응답만 추출’한 경우와 ‘전체 순위 응답을 포함’한 경우로 구분하여 분석

  • 대상 : 행안부 연구개발전문가 POOL 약 820여명(213명 응답)
  • 기간 : 2022.9.14. ~ 11.18.
  • 방법 : 전문가 델파이 조사 (총 2차)

※ 델파이 조사 후 조사 결과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을 위한 자문회의 실시

22년 예방, 대비, 대응, 복구 4단계의 24대 핵심역량 평균 기술수준은 ’21년(81.4%)보다 전반적으로 하향된 81.2%로 조사

  • 대응단계의 ‘재난확산방지‘(86.5%) 기술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복구단계의 ‘장기구호서비스‘(76.0%) 기술수준이 최하위로 개선 필요
  • ’21년 대비 예방단계의 ‘재난안전 관리기준 및 점검‘(83.6%)의 기술수준이 +11.1%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반면, 복구단계의 ‘피해원인규명 및 환류‘(77.2%) 기술수준은 -7.8%로 가장 크게 감소
  • 예방관련 - 위험요소별 피해 시나리오(’18년 - 74.3, ’19년 76.9, ’20년 87.7, ’21년 80.0, ’22년 80.5), 신종재난 대비,대책(’18년 - 69.0, ’19년 74.4, ’20년 80.8, ’21년 80.0, ’22년 78.6), 재난안전관리기준 및 점검(’18년 - 75.2, ’19년 77.2, ’20년 82.0, ’21년 72.5, ’22년 83.6), 재난안전 정보공유(’18년 - 79.7, ’19년 77.2, ’20년 81.1, ’21년 85.0, ’22년 83.9), 재난위험평가(’18년 - 70.7, ’19년 78.3, ’20년 77.4, ’21년 81.5, ’22년 83.0), 모니터링, 탐색 및 감지(’18년 - 72.2, ’19년 75.8, ’20년 75.7, ’21년 80.0, ’22년 78.2), 국가기간산업 보전 및 보호(’18년 - 73.5, ’19년 75.2, ’20년 79.6, ’21년 80.0, ’22년 81.2), 국가기반시설 물리적 보호대책(’18년 - 76.5, ’19년 77.8, ’20년 85.4, ’21년 85.0, ’22년 84.3),
  • 대비관련 - 재난안전 예경보(’18년 - 72.8, ’19년 81.3, ’20년 78.8, ’21년 80.0, ’22년 84.9), 장기 국가 취약성 저감(’18년 - 76.5, ’19년 77.7, ’20년 76.3, ’21년 80.0, ’22년 77.9), 재난안전 교육훈련(’18년 - 73.3, ’19년 78.1, ’20년 76.6, ’21년 81.1, ’22년 86.5),
  • 대응관련 - 응급구호 서비스(’18년 - 71.5, ’19년 77.5, ’20년 82.0, ’21년 81.0, ’22년 81.9), 상황관리 및 의사결정(’18년 - 69.0, ’19년 71.3, ’20년 79.9, ’21년 81.0, ’22년 80.8), 긴급대피, 수송(’18년 - 70.7, ’19년 72.5, ’20년 68.7, ’21년 80.0, ’22년 80.5), 재난확산방지(’18년 - 81.5, ’19년 78.3, ’20년 86.8, ’21년 85.0, ’22년 86.5), 피해자관리서비스(’18년 - 74.0, ’19년 75.3, ’20년 83.6, ’21년 82.0, ’22년 77.8), 인명수색 및 구조(’18년 - 72.0, ’19년 75.8, ’20년 77.3, ’21년 80.5, ’22년 76.4), 현장관리 및 보호(’18년 - 64.0, ’19년 78.8, ’20년 77.3, ’21년 80.0, ’22년 78.6), 비상정보전달(’18년 - 86.0, ’19년 77.3, ’20년 83.4, ’21년 87.8, ’22년 81.1), 방재자원제공(’18년 - 73.6, ’19년 77.0, ’20년 79.0, ’21년 84.0, ’22년 80.6),
  • 복구관련 - 피해원인 규명 및 환류(’18년 - 75.6, ’19년 77.0, ’20년 82.3, ’21년 85.0, ’22년 77.2), 구호시설(임시주택및캠프)(’18년 - 74.0, ’19년 76.7, ’20년 79.1, ’21년 80.0, ’22년 83.7), 장기구호 서비스(’18년 - 74.0, ’19년 73.8, ’20년 75.1, ’21년 80.0, ’22년 76.0), 국가기반시설 기능 정상화(’18년 - 76.7, ’19년 70.1, ’20년 76.4, ’21년 82.1, ’22년 85.9),

분야별 기술수준 평균(’18년-’22년)

관리단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증가율로 나열 되고 있습니다.
관리단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증감(2022년~2021년)
전체 74.0 76.3 80.0 81.4 81.2 -0.2
예방 73.9 76.6 81.3 80.5 81.7 +1.2
대비 74.2 78.8 78.1 80.4 83.0 +2.6
대응 73.6 75.9 79.3 82.4 80.4 -2.0
복구 75.1 74.3 80.4 82.4 80.6 -1.2

참고 : 재난안전 분야 기술수준 조사결과

관리단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증가율로 나열 되고 있습니다.
관리단계 핵심기술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기술수준(%) 기술격차(년) 기술수준(%) 기술격차(년) 기술수준(%) 기술격차(년) 기술수준(%) 기술격차(년) 기술수준(%) 기술격차(년)
전체 74.1 6.1 76.3 5.7 79.7 4.8 81.4 3.5 81.2 3.4
73.9 76.6 81.3 80.5 81.7
예방 1. 위험요소별 피해 시나리오 74.3 6.5 76.9 4.8 87.7 3.0 80.0 3.1 80.5 4.0
2. 신종재난 대비,대책 69.0 5.3 74.4 7.7 80.8 3.1 80.0 3.3 78.6 3.2
3. 재난안전관리기준 및 점검 75.2 7.0 77.2 4.7 82.0 8.2 72.5 5.8 83.6 4.1
4. 재난안전 정보공유 79.7 3.9 77.2 7.6 81.1 4.1 85.0 2.5 83.9 2.4
5. 재난위험평가 70.7 6.7 78.3 5.1 77.4 5.2 81.5 4.5 83.0 3.8
6. 모니터링, 탐색 및 감지 72.2 6.8 75.8 4.5 75.7 6.1 80.0 3.0 78.2 3.4
7. 국가기간산업 보전 및 보호 73.5 5.2 75.2 6.4 79.6 6.5 80.0 3.8 81.2 4.3
8. 국가기반시설 물리적 보호대책 76.5 6.7 77.8 5.2 85.4 4.6 85.0 4.44 84.3 3.4
74.2 78.8 78.1 80.4 83.0
대비 9. 재난안전 예경보 72.8 6.3 81.3 4.6 78.8 5.4 80.0 4.0 84.9 3.3
10. 장기 국가 취약성 저감 76.5 8.0 77.7 7.3 76.3 7.0 80.0 4.1 77.9 3.5
11. 재난안전 교육훈련 73.3 6.8 78.1 5.4 76.6 7.5 81.1 4.8 86.1 3.6
73.6 75.9 79.3 82.4 80.4
대응 12. 응급구호 서비스 71.5 8.2 77.5 4.6 82.0 5.1 81.0 4.5 81.9 3.6
13. 상황관리 및 의사결정 69.0 4.9 71.3 5.8 79.9 5.9 81.0 3.0 80.8 4.1
14. 긴급대피, 수송 70.7 5.6 72.5 6.1 68.7 4.6 80.0 2.5 80.5 4.2
15. 재난확산방지 81.5 5.4 78.3 5.1 86.8 5.5 85.0 2.9 86.5 2.2
16. 피해자관리서비스 74.0 6.9 75.3 6.9 83.6 3.9 82.0 3.5 77.8 3.4
17. 인명수색 및 구조 72.0 6.1 75.8 4.8 77.3 4.5 80.5 3.8 76.4 3.2
18. 현장관리 및 보호 64.0 5.7 78.8 6.4 77.3 2.8 80.0 3.0 78.6 4.0
19. 비상정보전달 86.0 2.9 77.3 4.2 82.3 4.0 87.8 1.8 81.1 2.4
20. 방재자원제공 73.6 5.7 77.0 6.9 79.0 5.2 84.0 4.0 80.6 3.7
75.1 74.3 80.4 81.8 80.6
복구 21. 피해원인 규명 및 환류 75.6 7.2 77.0 4.7 82.3 3.4 85.0 2.3 77.2 3.2
22. 구호시설(임시주택및캠프) 74.0 6.2 76.7 6.4 79.1 3.1 80.0 3.1 83.7 3.4
23. 장기구호 서비스 74.0 4.9 73.8 5.6 75.1 3.0 80.0 3.0 76.0 2.8
24. 국가기반시설 기능 정상화 76.7 7.8 70.1 5.4 76.4 3.6 82.1 3.6 85.9 2.4